2025 공무원 급여표: 9급 1호봉부터 주요 직급 비교
2025 공무원 급여는 보수 3.0% 인상과 저연차 추가 인상(9급 1호봉 총 6.6%)이 반영되었습니다. 9급 1호봉 봉급 2,000,900원이며, 수당을 포함한 초임 보수 월평균 269만 원 수준으로 공시되었습니다. 아래 표와 체크리스트로 봉급표·수당 변경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. (근거: 인사혁신처 보도자료·봉급표 원문)
핵심 요약(팩트체크)
- 보수 인상: 전반 3.0% + 저연차 추가 인상(9급 1호봉 총 6.6%)
- 9급 초임(1호봉): 봉급 2,000,900원 / 보수(봉급+수당) 월평균 269만 원
- 수당 변화: 민원업무수당 신설(월 3만 원), 경찰·소방 위험근무수당 7만 원, 육아휴직수당 상한 250만 원
- 정액급식비: 2025년 기준 월 14만 원(공식 규정상 변동 없음)
근거: 인사혁신처 보도자료·봉급표, 법제처 수당 규정.
9급 1호봉부터 주요 직급 ‘기본급(봉급)’ 비교
※ 아래는 봉급(기본급)만 비교이며, 가족수당·직급보조비·정액급식비·성과상여금·시간외수당 등은 별도입니다.
| 구분 | 1호봉 봉급(원) | 5호봉 봉급(원) |
|---|---|---|
| 9급 | 2,000,900 | 2,104,000 |
| 8급 | 2,028,200 | 2,228,500 |
| 7급 | 2,173,600 | 2,480,300 |
| 6급 | 2,308,700 | 2,756,600 |
| 5급 | 2,798,500 | 3,276,200 |
출처: 인사혁신처 2025년 봉급표(별표 3).
실수령 예시(간단 시나리오)
- 9급 1호봉 기준: 봉급 2,000,900 + 정액급식비 140,000 + 직급보조비(9급) 175,000 ≈ 2,315,900원(세전)
- 개인·가족 구성, 시간외근무·특수근무·지역수당 등에 따라 변동
정액급식비·직급보조비 구성: 인사혁신처 보수체계 안내 참조.
2025 수당·제도 변경 한눈에
- 민원업무수당 신설: 월 3만 원
- 위험근무수당(경찰·소방): 월 6만 → 7만 원
- 육아휴직수당 상한: 최대 250만 원(구간 상향)
- 정액급식비: 월 14만 원(현행 유지)
확인·비교 체크리스트
- [ ] 2025년 봉급표(별표 3)에서 직급·호봉 확인
- [ ] 개인 상황별 수당 적용 여부 점검(가족·특수·지역·시간외 등)
- [ ] 지방공무원의 경우, 지자체 처리지침도 병행 확인
- [ ] 실수령은 공제(4대보험·세금) 반영 후 최종 확인
마무리
2025년은 보수 3.0% 인상과 저연차 추가 인상이 겹치며 초임 체감 개선 폭이 큽니다. 정확한 금액은 봉급표(별표 3)와 개인별 수당·공제 적용 후 달라지니, 위 공식 링크로 최종 확인하세요.

